2022년 8월 기준 SvelteKit 1.0 pre-alpha 버전에서 바뀐 점 살펴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예전부터 계속 주시했었던 SvelteKit에 대해 얘기해보려고 하는데요.
SvelteKit이 드디어 2022년 12월 15일 1.0 버전이 정식 출시되었습니다.
실제 production 모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좋은 수준으로 나온 거 같은데요.
오늘은 SvelteKit에 대해 심도 있게 알아보기 전에 예전에 배웠던 분들을 위해 2022년 8월 16일 이후에 SvelteKit이 어떻게 변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라우팅 문법(Routing syntax)
기존 SvelteKit 버전에서는 Next.js 12 이하나 Remix Framework처럼 파일이든 폴더든 /src/routes 폴더 밑에 있으면 라우팅이 됐었는데요.
이제는 폴더 방식만 가능합니다.
그럼 폴더 방식이란 뭘까요?
그러니까 폴더 이름이 라우팅 주소가 되고 그 안에는 index.svelte 파일이 아니라 +page.svelte 파일이 해당 라우팅을 위한 파일이 됩니다.
-- 폴더 방식 라우팅
📂 src
┗ 📂 routes
┣ 📜 +page.svelte
┣ 📂 about
┃ ┗ 📜 +page.svelte
┗ 📂 blog
┣ 📜 +page.svelte
┗ 📂 post-title
┗ 📜 +page.md
.md 파일 확장자는 extension을 설치하면 가능합니다.
뭔가 플러스(+) 글자를 page.svelte에 붙인다는 게 이상해 보입니다.
그런데 플러스(+) 글자를 추가하면서 (+) 글자가 없는 파일은 라우팅으로 계산 안되게 끔 하는 깔끔하고 간단한 방법도 제공해주니까 한편으론 좀 더 이해하기가 쉬워졌다고 할까요?
그래서 실제 SvelteKit에서는 개인적인 파일 이름에 (+) 글자를 붙일 수 없습니다.
즉, SvelteKit만 사용하게끔 (+) 글자가 예약되었다는 뜻입니다.
다이내믹 라우팅
다이내믹 라우팅은 기존과 같이 스퀘어 브래킷'[]'을 씁니다.
📂 src
┗ 📂 routes
┗ 📂 blog
┣ 📜 (a bunch of markdown files here)
┗ 📂 [slug]
┗ +page.svelte
위 코드와 같이 '[slug]'와 같이 다이내믹 라우팅을 지정하면 SvelteKit은 '[slug]'폴더의 +page.svelte 파일의 load 함수를 찾습니다.
여기 load 함수에서 해당 다이내믹 처리를 해줘야 합니다.
Layouts
기존 버전에서는 레이아웃 파일에는 언더스코프 두개(__)를 썼었는데요.
새로운 버전에서는 그냥 +layout.svelte라고 씁니다.
-- 레이아웃 새로운 규칙
📂 src
┗ 📂 routes
┗ 📜 +layout.svelte
참고로 __error.svelte도 +error.svelte로 바뀌었습니다.
라우팅 폴더에 숨긴 파일은?
기존 버전에서는 "src/routes" 폴더 밑에 언더스코프(_) 한 개를 파일 이름 앞에 붙이면 그 파일은 라우팅 예외가 됐었는데요.
이제부터는 (+) 글자 규칙을 따르기 때문에 (+) 글자가 없는 파일은 자동으로 라우팅에 제외됩니다.
load 함수
예전 버전에서 load 함수를 사용하려면 script 태그를 따로 또 만들어야 했는데요.
<!-- Old load function -->
<script context="module">
export const load = () => {
// Do stuff here
return {
props: {
// The stuff to return
}
}
}
</script>
<script>
// Normal Svelte component stuff here
</script>
새로운 버전에서는 위와 같이 쓸 필요가 없어졌습니다.
+page.js 파일이나, +page.server.js 파일 안에 그냥 선언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export' 하는 걸 잊지 마시고요.
참고로 load 함수는 서버 사이드 함수라서 +page.svelte 가 아닌 +page.js 파일 안에서 써야 합니다.
📂 src
┗ 📂 routes
┣ 📜 +page.svelte
┗ 📜 +page.js
(or +page.server.js)
SvelteKit은 페이지를 렌더링 하기 전에 +page.js(또는 +page.server.js) 파일 안에 있는 load 함수를 먼저 호출합니다.
Remix Framework의 loader 함수와 그 사용법이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참고로 load 함수의 조건입니다.
-
load 함수는 export 되어야 한다.
-
load 함수는 url, params 파라미터를 가진다.
-
load 함수는 무조건 객체(빈 객체도 가능)를 리턴해야 한다. +page.svelte 파일에 prop으로 리턴됩니다.
참고로 load 함수를 모든 svelte 파일에 적용하려면 간단하게 /src/routes/+layout.svelte인 루트 레이아웃 파일에 작성하면 됩니다.
+page.js 와 +page.server.js 차이점
+page.js 파일은 서버 사이드와 클라이언트 사이드 모두에서 작동되며,
+page.server.js 파일은 서버 사이드에서만 작동됩니다.
여기서 특히나 두 파일의 중요한 차이점을 보려면 load 함수를 예로 들어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먼저, +page.js 파일에서 fetch 함수를 쓴다고 가정했을 때는 아래와 같이 하면 됩니다.
// +page.js only
import { json } from '@sveltejs/kit'
export const load = ({ fetch }) => {
const myData = fetch('/relative/path/here')
return json(myData)
}
실제 브라우저와 Node의 fetch는 약간 다른데요.
그래서 +page.js 파일에서는 fetch를 파라미터로 넣으면 SvelteKit이 알아서 Node 버전과 브라우저 버전의 fetch 차이를 해석하여 작동하게 되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크게 걱정할 게 없습니다.
그럼 +page.server.js 파일에서 fetch는 어떻게 할까요?
+page.server.js 파일은 서버 사이드에서만 작동하기 때문에 load 함수에 파라미터로 fetch를 넣어주면 에러가 생깁니다.
그냥 아래와 같이 url을 같은 파라미터만 넘겨주고 그냥 fetch를 쓰시면 됩니다.
여기서는 Node 버전의 fetch 함수인 거죠.
// +page.server only
import { json } from '@sveltejs/kit'
export const load = ({ url }) => {
const myData = fetch(`${url.origin}/my/api/path`)
return json(myData)
}
서버 라우트(API 엔드포인트)
예전 방식의 API 엔드포인트는 아래와 같이 사용하셨겠지만,
-- 예전 endpoint structure:
📂 src
┗ 📂 routes
┗ 📂 api
┗ 📜 posts.json.js
새로운 버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변경되었습니다.
-- 새로운 endpoint structure:
📂 src
┗ 📂 routes
┗ 📂 api
┗ 📂 posts
┗ 📜 +server.js
위와 같이 +server.js 파일이라는 (+) 글자를 이용한 방식이며 아예 server라는 이름으로 서버 사이드만 작동된다는 파일이라고 지정했습니다.
그리고 +server.js 파일을 가지고 있는 폴더 이름을 posts에서 posts.json처럼 사용할 수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그리고 예전의 API 엔드포인트는 리턴되는 객체의 세팅 부분을 꼭 맞게 지정해 줘야 했는데요.
아래처럼 status와 body 부분을 지정해줘야 합니다.
// 이전 방식
export const get = () => {
const message = 'Hello!'
return {
status: 200,
body: {
message
}
}
}
이제는 json 이라는 헬퍼 유틸리티도 제공하고, API 엔드포인트가 꼭 Response 객체를 리턴하게끔 바뀌었습니다.
// 새로운 방식
import { json } from '@sveltejs/kit'
export const GET = () => {
const message = 'Hello!'
return json(message)
}
그리고 함수 이름도, GET, POST, DELETE, PUT처럼 써야 합니다.
새로 바뀐 SvelteKit의 Respose 객체 리턴 방식이 json 헬퍼 함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더 이상 status나 body를 사용하여 객체를 꾸며주지 않아도 되는데요.
만약 에러가 발생한다면 어떻게 할까요?
아래처럼 error 함수를 이용하면 됩니다.
// 예전 방식
return {
status: 400,
body: new Error('not found')
}
// 새로운 방식
import { error } from '@sveltejs/kit'
try {
//return something here
}
catch({ message }) {
throw error(400, message)
}
이상으로 SvelteKit의 메이저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다음 시간에는 SvelteKit 1.0 버전 출시를 기념해서 블로그 시스템을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